카카오톡 AI 챗봇 제작 가이드
1. 소개
카카오톡 AI 챗봇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입니다. 본 가이드는 LaaS(LLM as a Service)를 활용하여 카카오톡 AI 챗봇을 설계, 개발, 배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1.1 LaaS와 카카오톡 AI 챗봇의 개요
LaaS(LLM as a Service)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AI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LaaS는 다양한 LLM(OpenAI GPT 시리즈, Naver Clova, Claude 등)을 지원하며, 기존 챗봇이 제공하던 기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LaaS의 주요 강점
-
다양한 LLM 선택
- LaaS는 OpenAI, Claude, Solar Mini 등 다양한 LLM을 지원하여 목적에 맞는 최적의 모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쉽고 빠른 개발 환경
- 프리셋(Preset) 기반의 작업 환경과 샌드박스 기능을 통해 신속한 개발과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
유연한 확장성
- 그룹-프로젝트-프리셋 구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기존 카카오톡 챗봇의 한계와 LLM의 극복
-
기존 카카오톡 챗봇은 정해진 스크립트와 조건 기반 응답만을 제공해 복잡한 대화 흐름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
LLM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
자연어 이해: 사용자 의도를 보다 정교하게 파악
-
상황 맞춤형 응답: 고도화된 대화 흐름 처리
-
데이터 활용: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응답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