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량 분석 가이드
예상 소요 시간: 5분
LaaS 사용량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별, 프리셋별, 기간별 리소스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최적의 리소스 할당 및 비용 절감 전략을 수립하세요.
이 가이드는 사 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효율적인 리소스 사용을 감지하고 최적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개요
LaaS의 사용량 분석 기능은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모델별, 프로젝트별, 기간별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든 사용량 데이터는 UTC+0(협정 세계시 0시 기준)으로 집계되므로, 글로벌 서비스 운영 시 시간대 차이로 인한 혼선을 방지하고 일관된 분석 환경을 제공합니다.
2. 사용량 분석의 필요성
2.1 비용 최적화
사용량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용 절감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및 프리셋별 모델 호출 횟수, 토큰 사용량 검토
-
과도한 리소스 소비 식별 및 불필요한 비용 절감
-
고비용 모델 을 대체할 수 있는 저비용 모델 탐색
예시:
A 기업은 사용량 분석 기능을 활용해 GPT-4에서 GPT-3.5로 전환하여 연간 40%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2.2 서비스 성능 향상
-
평균 토큰 사용량 및 모델 호출 빈도를 분석하여 비효율적인 프리셋 최적화 가능
-
모델 응답 속도 및 정확도 개선을 통해 서비스 품질 향상
-
RAG(문서 검색) 기능 최적화를 통해 불필요한 검색 비용 절감
예시:
B팀은 RAG 기능을 사용한 검색 요청의 토큰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문서 검색 비용을 25%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2.3 문제 예측 및 대응
-
특정 기간 동안 사용량 급증 또는 감소 패턴 감지
-
예기치 않은 서비스 이슈 및 수요 변화를 사전 감지
-
마케팅 캠페인, 이벤트 발생 시 리소스를 사전에 확보
예시:
C사는 특정 서비스에서 예상치 못한 AI 호출 증가를 감지하고 사전에 추가 예산을 확보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했습니다.
3. 제공되는 기능과 활용 방법
3.1 날짜 범위 설정 및 데이터 필터링
기능 설명
-
분석할 기간(일간, 주간, 월간)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
-
모든 사용량 데이터는 UTC+0 기준으로 집계되어 글로벌 서비스 운영 시 일관된 기준 제공
활용 방법
-
주기적 분석: 월별, 분기별 사용량을 점검하여 비용과 리소스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최적화 전략을 수립
-
이벤트 기반 분석: 마케팅 캠페인, 신규 기능 출시 후 사용량 변화를 분석하여 이벤트 성과 평가 및 향후 계획 반영
🔗 사용량 대시보드 바로가기
사용량 모니터링
3.2 평균 토큰 사용량 분석
기능 설명
-
입력 토큰과 출력 토큰 비율을 분석하여 비정상적으로 높은 토큰 사용량 감지
-
시각적 차트 제공으로 사용량 패턴을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
활용 방법
-
프리셋 최적화: 평균 토큰 사용량이 높은 특정 프리셋을 찾아 프롬프트 구조 개선 및 모델 설정 변경
-
토큰 불균형 조정: 입력 대비 출력 토큰 비율이 불균형한 경우 프롬프트 전략을 수정하여 비용과 성능을 균형 있게 조정